시범사업기간이 끝난 지금 7월 1일부터 기후동행카드가 본 시행합니다!
그렇다면 이미 쓰고 있는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 어떤게 나에게 맞는 카드 일까요? 바로 알아보러 가시죠!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의 차이점
이 두 카드의 차이점을 간단히 요약해드릴게요!
K패스
- 전국 대중교통 위주로 사용
- 이동거리와 상관없이 이용금액의 20%~53%까지 환급 받을 수 있음
- 대상은 일반인, 청년층, 저소득층 등으로 다양
-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대체하며, 더 많은 혜택 제공
기후동행카드
- 서울시내 대중교통 위주로 사용
- 월 6만 2천원 정기권을 구매하면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 가능
- 추가 3천원으로 따릉이 이용 가능
- 서울 외 지역에서 하차하면 별도 요금이 부과 될 수 있음
그럼 난 뭘 써야하지?
두 카드 모두 대중교통비 절약에 큰 도움이 되지만, 서울에 사시는 분이라면 기후동행카드, 그 외 지역인분들은 K패스를 사용하는게 좋을 거 같아요.
신청에서 발급까지
가입조건부터 신청 방법까지 구분지어 설명 드릴게요!
K패스
- 만 19세 이상 성인
- 본인 명의 휴대폰 소지자
- K-패스 카드 발급(알뜰교통카드도 가능!)
- K-패스 참여 지자체 주민(외국인도 가능!)
위에는 K패스 기본 가입 조건입니다! 바로 회원가입으로 발급 가능하니 아래 버튼 누르시면 K패스로 바로 이동 가능합니다!
기후동행카드
기후동행카드의 경우 모바일을 통합 발급과 실물 카드를 발급하는 법이 있는데요. 자세한 건 정리한 아래를 읽으실게요!
모바일 티머니 앱을 통한 기후동행카드 발급
- 모바일 티머니 앱 다운로드 및 회원가입먼저, 모바일 티머니 앱을 다운로드하고 회원가입을 완료합니다.
- 기후동행카드 발급 및 충전앱 내에서 기후동행카드를 발급받고 충전할 수 있습니다.
- 결제수단: 계좌이체 또는 본인 명의의 신용·체크카드
- 모바일 티머니 앱은 OS 12 이상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실물 기후동행카드 발급 및 이용 방법
- 카드 구매 : 서울교통공사(1~8호선) 고객안전실 및 역사 인근 편의점을 방문하여 기후동행카드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 카드 등록 : 카드 뒷면의 QR코드를 통해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 등록합니다.
- 실물카드를 이용하는 경우, 반드시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 카드를 등록해야 하며, 이는 1인 1카드 원칙이 적용됩니다.
- 카드 미등록 시 환불 및 따릉이 이용이 불가합니다.
- 충전 방법 : 구매한 카드는 역사 내 무인충전기를 통해 충전할 수 있습니다.
- 무인충전기 위치: 서울교통공사(1~8호선), 9호선, 우이신설선, 신림선 역사 내
- 결제수단: 현금, 신용·체크카드 (법인카드 불가능)
기후동행카드 발급처는 아래 버튼을 누르시면 한눈에 보실 수 있어요!
반응형